빅토리아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리아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는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와 영국의 앨리스 공주의 장녀로,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이다. 1884년 바텐베르크의 루이 공자와 결혼하여 앨리스, 루이즈, 조지, 루이 등 2남 2녀를 두었다. 1차 세계 대전 중 남편이 해군에서 사임하고 독일식 칭호를 포기하면서 '밀포드 헤이븐 후작부인 빅토리아 마운트배튼'으로 불렸다. 그녀는 가족의 비극을 겪었으며, 특히 자녀들의 교육에 헌신했다. 1950년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저 (버크셔주) 출신 - 레이디 사라 차토
레이디 사라 차토는 1964년 런던에서 태어나 화가로 활동하며, 1994년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고 2024년 로열 발레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 윈저 (버크셔주) 출신 - 앰버 러터
- 바텐베르크가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바텐베르크가 - 마운트배튼 경
- 영국계 독일인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영국계 독일인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하노버)
조지 3세의 아들이자 영국 왕족이었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는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하노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빅토리아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밀포드 헤이븐 후작부인 |
본명 | 빅토리아 알베르타 엘리자베트 마틸데 마리 |
출생일 | 1863년 4월 5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성 |
사망일 | 1950년 9월 24일 |
사망지 | 잉글랜드, 런던, 켄싱턴궁 |
매장일 | 1950년 9월 28일 |
매장지 | ワイト島, 휘핑햄, 성 밀드레드 교회 |
가문 | 헤센-다름슈타트 가문 |
아버지 |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 |
어머니 | 영국의 앨리스 |
결혼 및 자녀 | |
배우자 | 루이스 마운트배튼, 초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1884년 4월 30일 결혼, 1921년 9월 11일 사망) |
자녀 | 앨리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앤드루 공비 루이즈, 스웨덴 여왕 조지 마운트배튼, 제2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루이 마운트배튼, 제1대 버마의 마운트배튼 백작 |
2. 생애
빅토리아는 1863년 부활절에 윈저 성에서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와 영국 공주 앨리스의 장녀로 태어났다. 외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이 참석한 가운데 루터교 신앙으로 세례를 받았다.[1] 어린 시절은 다름슈타트의 교외 베숭겐에서 보냈으며, 3살 때 가족과 함께 다름슈타트의 신 궁전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여동생 엘리자베트와 같은 방을 쓰며 성장했다. 빅토리아는 높은 수준의 개인 교육을 받았고, 평생 책을 즐겨 읽었다.[3]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동안, 빅토리아와 엘리자베트는 할머니와 함께 살기 위해 영국으로 보내졌다.[4]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중에는 다름슈타트 궁전 부지에 군 병원이 세워졌고, 어머니와 함께 수프를 나눠주는 봉사활동을 했다. 이때 뜨거운 수프에 팔을 데었던 기억을 회상하기도 했다.[5]
1872년에는 18개월 된 남동생 프리드리히가 혈우병 진단을 받았고, 1873년에는 창밖으로 떨어져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6][8] 1878년에는 디프테리아가 헤센 대공가를 덮쳐 가족 대부분이 감염되었고, 어머니 앨리스 공주와 막내 여동생 마리가 사망했다.[7] 맏딸이었던 빅토리아는 어린 동생들을 돌보고, 아버지를 보좌하며 사실상 궁정의 안주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8] 빅토리아는 훗날 "어머니의 죽음은 회복할 수 없는 상실이었다... 내 어린 시절은 그녀의 죽음으로 끝났고, 나는 맏이이자 가장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었다"라고 회상했다.[9]
1884년 4월 30일, 빅토리아는 아버지의 사촌인 루트비히 폰 바텐베르크(루이스 알렉산더 마운트배튼)와 결혼했다.[53][54] 그의 아버지 알렉산더가 귀천상혼을 했기 때문에, 루트비히는 하급 귀족 취급을 받았고 재산도 적었다. 아버지 루트비히 4세는 이 결혼을 달가워하지 않았지만,[53] 빅토리아는 독립적인 성격으로 아버지의 반대에 크게 개의치 않았다. 남편 루이스가 영국 해군 군인이었기 때문에 빅토리아는 영국에서 생활하게 되었고, 남편이 지중해로 항해를 떠날 때 동행하여 몰타에서 겨울을 보내기도 했다. 아들 루이스가 10세가 될 때까지 직접 교육을 할 정도로 지적인 여성이었다. 루이스는 1968년에 어머니를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이라고 회상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 내 반독일 정서로 인해 남편 루이스는 해군에서 물러나야 했다. 빅토리아 가족은 독일식 성인 '바텐베르크' 대신 영어식 '마운트배튼'으로 성을 바꾸고, 조지 5세로부터 밀퍼드 헤이븐 후작 작위를 받았다.[55] 이 전쟁으로 빅토리아는 러시아 혁명으로 여동생 엘리자베트와 알릭스를 잃는 아픔을 겪었다.[56]
빅토리아는 장녀 앨리스의 정신 질환을 안타까워했고, 가정 불화로 갈 곳을 잃은 손자 필리포스(훗날의 에든버러 공작)를 영국에서 양육했다. 남편과 사별한 후에는 켄싱턴 궁전에서 거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궁전이 공습을 받자 윈저 성으로 거처를 옮기기도 했다. 전쟁 후 아들 루이스가 인도 총독 임무를 수락하려 하자 위험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1950년, 루이스의 집에 머무르던 중 병에 걸린 빅토리아는 "여기는 내가 죽기에는 너무 좋은 곳이야"라고 말하며 켄싱턴 궁전으로 돌아와 그곳에서 사망했다.
2. 1. 가족 관계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및 자녀 |
---|---|---|---|
앨리스 | 1885년 2월 25일 | 1969년 12월 5일 | 1903년 그리스와 덴마크의 앤드루 왕자와 결혼,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포함 다섯 자녀[15] |
루이즈 | 1889년 7월 13일 | 1965년 3월 7일 | 1923년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결혼(두 번째 결혼), 사산한 딸 1명 |
조지 | 1892년 11월 6일 | 1938년 4월 8일 | 1916년 토르비 백작부인 나데즈다 미하일로브나와 결혼, 두 자녀[16] |
루이 | 1900년 6월 25일 | 1979년 8월 27일 | 1922년 에드위나 신시아 아네트 애슐리와 결혼, 두 자녀[17] |
빅토리아는 빅토리아 여왕의 둘째 딸 영국의 앨리스 공주와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 사이에서 태어났다.[1]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영국 국왕, 독일 황제,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공작, 그리스 왕비, 노르웨이 왕비, 스웨덴 왕세자비, 루마니아 왕비, 스페인 왕비의 사촌이기도 했다.
빅토리아의 여동생 엘리자베트는 러시아의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과 결혼하여 러시아의 옐리자베타 표도로브나 대공비가 되었다.[1] 둘째 여동생 이레네는 이종 사촌인 독일의 하인리히 왕자와 결혼했다. 셋째 동생 에른스트 루트비히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헤센의 대공이 되었다. 막내 여동생 알릭스는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와 결혼하여 러시아의 마지막 황후인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가 되었다.[1]
2. 2. 어린 시절
1863년 부활절에 윈저 성에서 태어난 빅토리아는 빅토리아 여왕이 참석한 가운데 루터교 신앙으로 세례를 받았다.[1] 어린 시절은 다름슈타트의 교외인 베숭겐에서 보냈고, 3살 때 가족과 함께 다름슈타트의 신 궁전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성인이 될 때까지 여동생인 엘리자베트와 방을 함께 썼다. 빅토리아는 높은 수준의 개인 교육을 받았으며, 평생 열렬한 독서가였다.[3]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동안, 빅토리아와 엘리자베트는 할머니와 함께 살기 위해 영국으로 보내졌다.[4]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동안에는 다름슈타트의 궁전 부지에 군 병원이 세워졌고, 빅토리아는 어머니와 함께 수프 주방에서 도왔다. 그녀는 뜨거운 수프에 팔을 데인 기억을 회상하기도 했다.[5]
1872년, 빅토리아의 18개월 된 남동생 프리드리히가 혈우병 진단을 받았고, 1873년에는 창밖으로 떨어져 사망했다.[6][8]
1878년 디프테리아가 헤센 대공가를 덮쳤다. 빅토리아를 포함한 가족 대부분이 감염되었고, 어머니 앨리스 공주와 막내 여동생 마리가 사망했다.[7] 맏이였던 빅토리아는 어린 동생들을 돌보고, 헤센 대공의 궁정에서 가장 높은 지위의 여성으로서 아버지를 보좌하여 궁정을 이끌어야 했다.[8] 어머니의 죽음 이후, 빅토리아 여왕은 외손주들의 교육에 깊이 관여했고, 빅토리아는 외할머니와 더욱 각별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9] 빅토리아는 훗날 "어머니의 죽음은 회복할 수 없는 상실이었다... 내 어린 시절은 그녀의 죽음으로 끝났고, 나는 맏이이자 가장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었다"라고 썼다.[9]
2. 3. 결혼
헤센의 빅토리아는 오촌이었던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와 결혼했다. 루트비히는 영국에서 루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그의 어머니는 왕족이 아닌 귀족 출신이었기 때문에 헤센 대공가의 계승권은 없었다.[10] 그는 영국 해군으로 복무하며 뛰어난 능력을 보였고, 빅토리아와 결혼한 후에는 전형적인 빅토리아 시대의 남편이 되었다.빅토리아의 아버지 루트비히 4세는 재산과 신분이 낮은 루트비히와의 결혼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12] 그러나 빅토리아는 독립적인 여성이었고 아버지의 반대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반면, 외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은 빅토리아가 어린 동생들을 더 돌봐야 한다고 생각하여 결혼을 반대했다. 빅토리아는 결혼 후에도 가족을 돌볼 수 있다고 여왕을 설득하여 결국 허락을 받았다. 하지만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라는 의미로 1년의 약혼 기간이 주어졌다.[10]
루트비히의 아버지 알렉산더는 귀천상혼을 하고 러시아 군인이 되었기 때문에, 아이들은 하급 귀족 취급을 받았고, 재산도 적었다.[53]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의 사망으로 잠시 연기된 후,[11] 빅토리아와 루이는 1884년 4월 30일 다름슈타트에서 결혼했다.[10] 부부는 2남 2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결혼 |
---|---|---|---|
앨리스 | 1885년 2월 25일 | 1969년 12월 5일 | 1903년 그리스와 덴마크의 앤드루 왕자와 결혼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포함 다섯 자녀[15] |
루이즈 | 1889년 7월 13일 | 1965년 3월 7일 | 1923년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결혼(두 번째 결혼) 사산한 딸 1명 |
조지 | 1892년 11월 6일 | 1938년 4월 8일 | 1916년 토르비 백작부인 나데즈다 미하일로브나와 결혼 두 자녀[16] |
루이 | 1900년 6월 25일 | 1979년 8월 27일 | 1922년 에드위나 신시아 아네트 애슐리와 결혼 두 자녀[17] |
2. 4. 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빅토리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영국 내 반(反)독일 정서 때문에 남편 루이는 해군에서 물러나야 했고, 독일 왕족 지위를 포기하고 영국식 성과 귀족 작위를 택해야 했다. 빅토리아는 '밀포드헤이븐 후작부인 빅토리아 마운트배튼'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57]
루이 왕자는 독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전쟁이 시작될 때 해군에서 사임해야 했고, 부부는 와이트 섬의 켄트 하우스로 은퇴했다.[26] 빅토리아는 남편의 강제 사임을 "존경하거나 신뢰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정부 탓으로 돌렸다.[27] 그녀는 해군 장관 윈스턴 처칠을 신뢰하지 않았는데, 그가 믿을 만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8] 독일 국민에 대한 계속된 대중의 적대감으로 인해 영국 국왕 조지 5세는 자신의 독일식 칭호를 포기했고, 1917년 7월 14일 루이 왕자와 빅토리아는 바텐베르크의 영어식 표현인 마운트배튼을 성으로 사용했다.[29]
전쟁 중 빅토리아의 두 여동생 알릭스와 엘리자베스는 러시아 혁명에서 살해되었고, 오빠 헤세 대공 에른스트 루이는 폐위되었다. 빅토리아는 1914년 러시아를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 알릭스가 살해될 예카테린부르크의 바로 그 집 옆을 지나갔었다.[30] 1921년 1월, 엘리자베스의 시신은 빅토리아가 지켜보는 가운데 예루살렘에 안치되었다. 알릭스의 시신은 빅토리아가 살아있는 동안 수습되지 못했다.[31]
2. 5. 말년
1차 대전 이후 빅토리아의 남편 루이 경은 복직되었으나, 일을 시작하기 직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빅토리아는 딸 루이즈와 함께 켄징턴 궁전에서 살았다. 이후 빅토리아는 아픈 딸 앨리스를 돌보거나, 외손자인 필리포스 왕자의 교육에도 관여하면서 평온한 삶을 살았다. 빅토리아는 외손자가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와 결혼하는 것을 지켜봤으며, 외손자의 아들이자 후계자가 될 찰스 3세의 탄생도 보았다.1950년 9월 24일 빅토리아는 사망했다. 그녀는 와이트 섬의 윕핑햄에 있는 교회에 남편 곁에 묻혔다.[8]
빅토리아의 남편은 1921년 9월 런던에서 사망했다. 피카딜리의 해군 및 군사 클럽에서 그를 만난 후, 그는 몸이 안 좋다고 호소했고 빅토리아는 그를 클럽 별관에 예약한 방에서 쉬도록 설득했다. 그녀는 의사를 불렀고, 의사는 약을 처방했고, 빅토리아는 근처 약국에서 처방전을 받기 위해 나갔다. 그녀가 돌아왔을 때, 루이는 죽어 있었다.[32] 과부가 된 빅토리아는 은혜와 호의가 제공되는 켄싱턴 궁전으로 이사했고, 그녀의 전기 작가의 말에 따르면 "유럽의 생존한 왕족들의 삶에서 중심적인 여성 가장이 되었다"라고 한다.[33] 1930년, 그녀의 장녀 앨리스는 신경쇠약을 겪었고 정신 분열증으로 진단받았다.[34] 그 후 10년 동안 빅토리아는 부모의 별거와 어머니의 수용으로 인해 손자 필립 공의 교육과 양육에 크게 기여했다. 필립 공은 "할머니를 매우 좋아했고 그녀는 항상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녀는 아이들을 아주 잘 돌봤습니다... 그녀는 아이들에게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그녀는 아이들을 올바른 방식으로 대했습니다. 즉, 이성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을 적절하게 조합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35]
1937년, 빅토리아의 오빠 에른스트 루이가 사망했고, 곧 과부가 된 시누이, 조카, 손녀, 증손자 2명이 모두 오스텐드에서 발생한 항공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빅토리아의 손녀 그리스와 덴마크의 세실리에 공주는 빅토리아의 조카(에른스트 루이의 아들) 헤세의 게오르그 도나투스 세습 대공과 결혼했다. 그들과 그들의 두 어린 아들 루이와 알렉산더는 모두 사망했다. 세실리에의 막내딸 헤세와 라인의 요안나 공주는 비행기에 탑승하지 않았고, 추락 사고 피해자들이 결혼식에 가던 삼촌 헤세와 라인의 루이 왕자에게 입양되었지만, 어린 소녀는 부모와 오빠들보다 18개월밖에 더 살지 못했고, 1939년 수막염으로 사망했다.[36]
빅토리아의 아들 조지가 이듬해 골수암으로 사망하면서 또 다른 비극이 곧 이어졌다. 그녀의 손녀 레이디 파멜라 힉스는 할머니의 눈물을 기억했다.[37]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빅토리아는 켄싱턴 궁전에서 폭격을 받아 윈저 성에서 조지 6세 국왕과 함께 잠시 시간을 보냈다. 그녀의 생존한 아들(루이)과 두 손자(데이비드 마운트배튼과 필립 공)는 영국 해군에서 복무했고, 그녀의 독일 친척들은 적대 세력과 싸웠다. 그녀는 대부분의 시간을 책을 읽고 아이들에 대해 걱정하면서 보냈다. 그녀의 딸 앨리스는 점령된 그리스에 머물렀고,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4년 동안 어머니와 소통할 수 없었다.[38] 연합군의 승리 후, 그녀의 아들 루이는 버마의 마운트배튼 자작이 되었다. 그는 인도 부왕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빅토리아는 그 자리가 위험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의 수락에 깊이 반대했다. 하지만 그는 결국 수락했다.[39]
1948년 12월 15일, 전 과부 후작 부인은 증손자 찰스 왕세자의 유아 세례에 참석했다. 그녀는 조지 6세,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 메리 여왕, 마거릿 공주, 그리스와 덴마크의 조지 공, 레이디 브래본, 데이비드 보우스-라이온과 함께 8명의 대부모 중 한 명이었다.[40]
1950년 여름, 그녀는 햄프셔의 브로드랜즈에 있는 마운트배튼 경의 집에서 기관지염에 걸렸다(그녀는 16세부터 흡연을 해왔다).[41] "집에서 죽는 것이 낫다"라고 말하며,[42] 빅토리아는 켄싱턴 궁전으로 돌아왔고, 87세가 되던 해 9월 24일에 사망했다. 그녀는 4일 후 와이트 섬의 휘핑햄의 성 밀드레드 교회 부지에 묻혔다.[8]

3. 자녀
사진 | 이름 | 출생 | 사망 | 기타 |
---|---|---|---|---|
![]() | 앨리스 | 1885년 2월 25일 | 1969년 12월 5일 (84세) |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와 결혼, 슬하 1남 4녀 |
![]() | 루이즈 | 1889년 7월 13일 | 1965년 3월 5일 (75세) | 스웨덴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결혼, 자녀 없음 |
![]() | 조지 | 1892년 12월 6일 | 1938년 4월 8일 (45세) | 밀포드 헤이븐 후작부인 나데이다 마운트배튼과 결혼, 슬하 1남 1녀 |
![]() | 루이 | 1900년 6월 25일 | 1979년 8월 27일 (79세) | 에드위나 애슐리와 결혼, 슬하 2녀 |
4. 유산
시녀 소피 부스회베덴 남작 부인의 도움을 받아 빅토리아는 회고록을 썼으며, 이는 사우스햄튼 대학교의 마운트배튼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왕실 역사가들에게 흥미로운 자료로 남아 있다.[8][43] 빅토리아 여왕이 빅토리아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는 리처드 호프의 해설과 빅토리아의 손녀 패트리샤 마운트배튼의 서문과 함께 출판되었다.[44]
그녀의 아들 루이스 마운트배튼은 "우리 어머니는 이해가 빠르고, 말이 많고, 매우 공격적이고 논쟁적이었습니다. 그녀의 훌륭한 두뇌로 사람들의 재치를 날카롭게 만들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45] 그녀의 손녀는 빅토리아에 대해 "강력하지만 결코 위협적이지 않았고... 지극히 정직한 여성으로, 상식과 겸손함이 넘쳤다"고 평가했다.[46]
빅토리아는 만년에 아들과의 편지와 대화에서 "역사에 남을 것은 개인이 한 좋은 일이며, 그것은 계급이나 칭호와 아무 관련이 없다... 나는 내가 단지 당신의 어머니로만 알려지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당신은 이제 매우 유명해졌고, 아무도 나에 대해 알지 못하는데, 나는 그들이 나에 대해 알기를 원하지 않는다."라는 묘비명을 남겼다.[47]
참조
[1]
서적
Louis and Victoria: The Family History of the Mountbattens. Second edition
Weidenfeld and Nicolson
[2]
문서
Queen Victoria's Journals – ''Monday 27 April 1863''
[3]
문서
Hough, p. 30
[4]
문서
Hough, p. 29
[5]
문서
Hough, p. 34
[6]
문서
Hough, p. 36
[7]
문서
Hough, pp. 46–48
[8]
O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9]
문서
Hough, p. 50
[10]
문서
Hough, p. 57
[11]
문서
Hough, p. 114
[12]
서적
Mountbatten
https://archive.org/[...]
Collins
[13]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I Hesse-Reuss-Saxe
[14]
문서
Hough, pp. 117–122
[15]
O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6]
O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7]
O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8]
문서
Hough, pp. 158–159
[19]
문서
Hough, p. 169
[20]
문서
Hough, pp. 213–214, 372 and 375
[21]
문서
Hough, p. 177
[22]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Lord Mountbatten
Arrow Books Ltd
[23]
문서
Victoria Milford Haven quoted in Hough, p. 215
[24]
문서
Hough, p. 264
[25]
문서
Hough, p. 289
[26]
문서
Hough, p. 274
[27]
서적
Alice, Princess Andrew of Greece
Hamish Hamilton
[28]
문서
Terraine, p. 10
[29]
서적
Queen Victoria's Descendants
Genealogical Publishing Co
[30]
문서
Hough, p. 288
[31]
서적
Prince Louis of Battenberg
Longmans, Green and Co
[32]
문서
Hough, p. 333
[33]
문서
Hough, p. 338
[34]
문서
Vickers, pp. 200–205
[35]
문서
Prince Philip quoted in Hough, p. 354
[36]
서적
Hessian Tapestry
Muller
[37]
문서
Hough, p. 365
[38]
문서
Hough, pp. 375 and 382
[39]
문서
Ziegler, p. 359
[40]
웹사이트
The Christening of Prince Charles
https://www.rct.uk/c[...]
Royal Collection Trust
2022-02-18
[41]
문서
Hough, p. 53
[42]
문서
Ziegler, p. 506
[43]
문서
The memoir is available online
https://cdn.southamp[...]
[44]
서적
Advice to a grand-daughter: letters from Queen Victoria to Princess Victoria of Hesse.
Heinemann
[45]
문서
Earl Mountbatten of Burma quoted in Hough, p. 339
[46]
문서
Lady Pamela Hicks quoted in Hough, p. 373
[47]
문서
Quoted in Hough, p. 387
[48]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49]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s Hessen
[50]
서적
An Almanack for the Year of Our Lord ...
https://archive.org/[...]
J. Whitaker
[51]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Pimlico
[52]
웹사이트
Victoria Mountbatten, Marchioness of Milford Haven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4-05-24
[53]
웹사이트
MS62 MB21 Recollections of Victoria Mountbatten, Marchioness of Milford Haven
https://cdn.southamp[...]
University of Southampton
2024-05-25
[54]
웹사이트
Victoria Mountbatten, Marchioness of Milford Haven (1863-1950), when Princess Victoria of Hesse c. 1871
https://www.rct.uk/c[...]
Royal Collection Trust
2024-05-25
[55]
웹사이트
The Royal Family name
https://www.royal.uk[...]
The Royal Family
2024-05-25
[56]
웹사이트
露最後の皇帝、一家全員が処刑と断定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24-05-24
[57]
문서
빅토리아는 겉으로는 멀쩡한 듯 했으나 동생들의 일을 잊기 위해 하루에 몇 시간씩 고된 정원일을 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